분류 전체보기1612 BI(Business Intelligence)가 뭐죠 BI란 Business Intelligence의 약어로 한마디로 설명하면 기업의 올바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을 말합니다. 따라서 과거의 경영 정보 시스템(MI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도 일종에 BI라고 할 수 있습니다. BI 솔루션의 작동 원리를 간단히 설명하면 기업 내외의 여러 시스템에 흩어져 있는 정형화된 데이터와 비 정형화된 데이터를 한 곳에 모아 분석해서 시각화하는 것입니다. 특히 인터넷에는 기업들이 참조하고 활용할 데이터가 매우 많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데이터들을 잘 활용한다면 의사결정에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하지만 아무리 좋은 데이터라 하더라도 불법적으로 취득해서는 안됩니다. 그리고 비정형 데이터를 어떻게 취합 분석하느냐 가 가장.. 2020. 9. 18. 명절에 대한 자세 민족의 대 명절인 추석이 이제 얼마 안 남았습니다.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 라는 말이 있을 만큼 추석은 풍성한 결실을 상징하는 우리의 전통 명절입니다. 명절(名節)이란 오랜 관습에 따라 해마다 일정하게 지켜 즐기는 날로 그 유래는 조선 헌종 때의 정학유가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 선조들은 계절에 따라 뜻깊은 날을 정해 정서적 유대감을 함께 공유해 왔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전통 명절 중 설날과 추석 이외에는 대부분 잊히고 있는 것 같습니다. 조선 헌종 때 정학유가 지은 가사집 『농가월령가』에 “북어 쾌 젓조기로 추석 명일 쉬어 보세”라고 읊은 내용이 있다. 여기서 ‘명일(名日)’은 오랜 관습에 따라 이루어진 우리 민족의 전통적인 축일 즉, 명절(名節)을 말한다. 명절은 대개 보름.. 2020. 9. 17. RPA 개념과 시장 전망 RPA란 Robotic Process Automation의 약어로 사용자가 PC나 모바일 기기에서 수행하는 정형화되고 반복적인 일을 사람 대신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를 말합니다. 우리가 컴퓨터나 모바일 기기를 사용할 때 정형화된 일이란 물론 사람마다 하는 일마다 다를 것입니다. 일상적으로 특별한 일이 발생하지 않는 이상 사람마다 컴퓨터를 처음 켰을 때 하는 행동들은 정해져 있습니다. 메신저를 먼저 실행하는 사람, 메일을 먼저 확인하는 사람, 브라우저를 실행시켜 포털 사이트에 들어가는 사람들처럼 말이죠. 그리고 그 다음 몇 가지 행동들도 대부분 비슷합니다. 이처럼 사람들은 컴퓨터를 켰을 때 하는 행동들은 정형화되어있고 반복적입니다. 또 특정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도 사람마다 다르게 사용합니다. 하지만 사람마다 .. 2020. 9. 16. 프로야구 치열한 1위 싸움, 그리고 그 속에 감춰진 무승부 프로야구는 코로나19로 예년보다 1달정도 늦은 5월에 개막을 했습니다. 그나마 도쿄 올림픽이 1년 연기되고 올스타 브레이크 없이 달려와 최장 장마가 있었음에도 현재(9월 14일 기준) 팀당 많게는 111 경기를 적게는 103 경기를 소화했습니다. 팀당 144경기를 치르는 정규 시즌에서 앞으로 남은 경기는 팀당 41~33 경기만을 남겨둔 시점에서 여느 때와 다르게 치열한 순위 싸움을 하고 있습니다. 순위를 보면 현재(9월 14일 기준) 시점 NC가 키움에 게임차 없는 1위를 달리고 있으며 1위부터 6위 KIA까지 5.5게임차 밖에 나지 않을 만큼 촘촘히 포진해 있습니다. 작년 시즌과 비교해 보면 얼마나 크게 차이가 나는지 알 수 있습니다. 팀당 39~35 정도 남아 있는 2019년 8월 9일자 프로야구 순.. 2020. 9. 15. 미운 7살 마냥 예쁘기만 하던 아이가 한 살 두 살 나이를 먹으면서 이전에는 보지 못했던 행동들을 합니다. 하지만 그 많은 행동들 중에서도 특히 곱지만은 않은 미운 행동들을 집중적으로 유독 많이 하는 시기가 있습니다. 주로 7세 전후로 보인다 하여 그런 행동을 보이는 아이들을 미운 7살이라고 합니다. 물론 시대나 각자 상황에 따라 보이는 시기나 행동의 강도는 다른 것 같습니다. 미운 7살이라는 행동 원인 또한 여러 가지가 있을 것 같은데 학계에서는 아직 그 원인을 정확히 밝혀낸 것 같지는 않아 제 개인적인 생각을 몇 자 적어봅니다. 제가 생각하는 미운 7살의 원인은 ‘상대적 박탈감’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어제까지는 미처 인지하지 못했던 특정 사실을 오늘 비로소 깨닫게 되어 표출하는 일종의 불만, 섭섭함 같은 감정.. 2020. 9. 14. 아이는 어른의 거울 아이를 키우는 부모라면 아이가 부모의 말과 행동을 그대로 따라 하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란 경험을 적어도 한두 번은 했을 것입니다. 특히 부모 본인도 미처 인지하지 못하는 버릇이나 습관들도 따라 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아이의 이러한 행동들을 보고 아이가 부모의 거울이라고 합니다. 그럼 아이는 왜 부모의 말이나 행동을 따라 하는 것일까요? 당연한 말이지만 아이는 태아 때부터 부모가 말하고 행동하는 것을 보고 듣고 자랍니다. 그러는 와중에 인상적인 말이나 행동을 발견하게 되면 아이는 그런 것들을 그대로 따라 하면서 자연스럽게 부모의 말이나 행동을 배우는 것입니다. 따라서 영유아 시기의 부모의 말과 행동은 아이의 지식이나 행동 발달에 매우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이 시기의 아이들은 단순히 부모의 말투나 버릇을 .. 2020. 9. 13. UX 개념과 UX 적용 시 고려사항 UX란 User Experience의 약어로 사용자가 어떤 시스템, 제품, 서비스를 직간접적으로 이용하면서 느끼고 생각하게 되는 총체적 경험을 말합니다. 단순히 기능이나 절차상의 만족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지각 가능한 모든 면에서 사용자가 참여, 사용, 관찰하고 상호 교감을 통해서 알 수 있는 가치 있는 경험이라고 위키백과에서는 정의합니다. 하지만 UX는 비단 시스템, 제품, 서비스 등을 이용하면서 느끼는 경험만을 얘기하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가 사람을 대할 때도 경험은 발생하며 그것도 UX인 것입니다. 우리는 살면서 많은 사람들을 만납니다. 그 중에는 만나면 즐거운 사람이 있고, 만남 자체가 꺼려지는 사람도 있습니다. 또 별 상관없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럼 우리는 어떤 기준으로 사람들을 이렇게 구분하는 .. 2020. 9. 12. Big Data의 특징과 중요성 빅 데이터(big data)란 기존 데이터베이스 관리 도구로 데이터를 수집, 저장, 관리, 분석할 수 있는 역량을 뛰어 넘어서는 대량의 정형 데이터뿐만 아니라 비정형 데이터 집합을 포함한 데이터로부터 가치를 추출하고 결과를 분석하는 기술입니다. 즉 기존 데이터베이스의 기술로는 처리하기 어려운 매우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술을 의미합니다. 흔히 빅데이터의 특징을 3V라고 합니다. 여기서 3V는 Variety, Volume, Velocity로 빅데이터의 개념을 한마디로 다양하고(variety) 방대한(volume) 데이터를 빠르게(velocity) 처리하는 기술이라고 설명하는 것에서 유추한 것입니다. 그리고 3V는 META Group(현재 Gartner)의 analyst인 Doug Laney가 2001년.. 2020. 9. 11. UI 개념과 발전 방향 UI란 User Interface의 약어로 사람(사용자)과 사물 또는 시스템, 특히 기계, 컴퓨터 프로그램 등의 사이에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일시적 또는 영구적인 접근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물리적, 가상적 매개체라고 합니다. (위키피디아 참조)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매개체라는 것입니다. 매개체란 쉽게 말해서 사용자가 시스템, 사물, 기계 등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해 주는 것으로 매개체는 입력 매개체와 출력 매개체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사물을 보고 얻는 정보를 출력 매개체라고 합니다. 그리고 출력 정보를 보고 사물에 특별한 행동을 하는 것을 입력 매개체라고 합니다. 문을 여는 행위를 예로 들면, 우리는 문을 열기 위해서는 우선 문에 있는 문고리를 봐야 합니다. 만약 우리가 열어야 할.. 2020. 9. 10. 이전 1 ··· 167 168 169 170 171 172 173 ··· 1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