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isc.

1920년대 대공항 전과 2020년대 주요 지표 비교

by 까삼스 이삐 2025. 3. 3.
728x90
반응형

 

요약

  • 연구에 따르면 1920년대에는 주식 시장이 호황(DJIA 약 300), 실업률이 낮았고(4-5%), 주택 가격이 안정적(약 8,000달러)이었으며, 이자율은 3-4%, 인플레이션은 낮았습니다(약 1%).
  • 2020년에 주식 시장(S&P 500 약 3,200)은 팬데믹 침체 이후 회복되었고, 실업률은 8.1%로 치솟았고, 주택 가격은 300,000달러로 상승했으며, 이자율은 0.36%로 떨어졌고, 인플레이션은 1.7%였습니다.
  • 2025년까지 주식 시장(S&P 500 약 5,960)과 주택 가격(407,000달러)이 성장하고, 실업률은 4.0%로 돌아왔으며, 이자율은 4.0%, 인플레이션은 약 2.75%가 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 예상치 못한 사실은 2025년 주택 가격이 1920년대에 비해 실질적으로 상당히 높다는 점인데, 이는 주택 가치가 장기적으로 성장하고 있음을 반영합니다.

 

https://en.wikipedia.org/wiki/Depression_of_1920–1921

 

경제 지표 비교

1920년대 대공황 이전

1920년대는 종종 "광란의 20년대(Roaring Twenties)"라고 불리며, 1929년 대공황 이전까지 경제 호황이 지속되었다. 주요 경제 지표는 다음과 같다.

  • 주식시장: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DJIA)는 약 300 수준으로, 시장이 호황을 누렸다.
  • 주택 시장: 중위 주택 가격은 약 8,000달러였으며, 건설 붐과 주택 보급률 증가가 두드러졌다.
  • 실업률: 약 4~5%로, 강한 고용 시장을 반영했다.
  • 금리: 연방준비제도(Fed)의 재할인율은 약 3~4%로, 경제 성장을 뒷받침했다.
  • 소비자물가지수(CPI) 인플레이션율: 연평균 약 1%로 낮았으며, 일부 기간에는 안정적이거나 소폭 디플레이션이 발생했다.

2020년 경제 상황

2020년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으나, 연말에는 회복 조짐이 보였다.

  • 주식시장: S&P 500 지수는 약 3,200에서 마감하며, 연초 폭락 후 회복되었다.
  • 주택 시장: 중위 주택 가격이 약 30만 달러로 상승했으며, 저금리와 높은 수요가 원인이었다.
  • 실업률: 평균 8.1%였으며, 팬데믹 봉쇄 조치로 인해 4월에는 14.7%까지 급등했다.
  • 금리: 연방기금금리는 0.36% 수준으로, 경제 부양을 위해 거의 0%에 가까운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 CPI 인플레이션율: 1.7%로,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 낮은 인플레이션을 유지했다.

2025년 현재 경제 상황 (2025년 3월 2일 기준)

현재 경제는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 주식시장: S&P 500 지수는 약 5,960으로, 지속적인 강세를 보인다.
  • 주택 시장: 예상 중위 주택 가격은 약 40만 7,000달러로, 가격 상승이 계속되고 있다.
  • 실업률: 약 4.0%로,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었으며 강한 고용 시장을 반영한다.
  • 금리: 연방기금금리는 약 4.0%로, 2020년보다 상승했으며 인플레이션 관리 노력이 반영되었다.
  • CPI 인플레이션율: 약 2.75%로, 2020년보다 높아졌으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평가 및 전망

1920년대와 2020년을 비교하면, 주식시장과 주택 가격은 실질적으로 크게 상승했으며, 2020년에는 팬데믹으로 인해 실업률이 높았다. 2020년의 금리는 1920년대보다 훨씬 낮았고, 인플레이션은 다소 높았다. 2025년 경제는 실업률이 낮고 금리가 높은 1920년대와 유사하지만, 인플레이션이 더 높고, 주식 및 주택 시장은 훨씬 강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향후 경제가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지만, 인플레이션이 지속된다면 금리 추가 인상이 필요할 수 있다. 현재 상황은 안정적이지만 인플레이션 우려가 남아 있으며, 주택 가격 상승과 강한 고용 시장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조사 노트: 경제 분석 개요

이 분석은 1920년대 대공황 이전, 2020년, 그리고 2025년 3월 2일 현재의 미국 경제 상태를 비교하고 평가한다. 주요 지표로는 주식시장, 주택 시장, 실업률, 금리, 소비자물가지수(CPI) 등을 포함하며, 모든 데이터는 신뢰할 수 있는 경제 데이터베이스 및 예측 자료를 기반으로 한다.


방법론 및 데이터 출처

  • 1920년대 및 2020년 데이터: 연방준비제도 경제 데이터(FRED), 미국 노동통계국(BLS) 등
  • 2025년 데이터 및 예측: Trading Economics, Statista, 최신 경제 보고서
  • 비교 기준: 명목 수치를 사용하며, 필요 시 미니애폴리스 연준의 CPI 데이터를 이용해 인플레이션을 고려한 실질 비교 수행

1920년대 vs. 2020년대 상세 비교

주식시장 (금융 부문)

  • 1920년대: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DJIA)는 1925년 151.08에서 1928년 300까지 상승하며 "광란의 20년대" 시장 호황을 반영
    • 인플레이션 조정 후 2020년 가치: 약 5,080.5 (CPI 조정)
  • 2020년: S&P 500 지수는 연말 기준 3,730.30으로, 팬데믹 초기 폭락 후 회복
  • 비교: 실질 가치 기준으로 보면 1920년대보다 낮지만, 명목 성장률은 높아 시장 확장을 보여줌

주택 시장

  • 1920년대: 중위 주택 가격은 약 8,000달러
    • 2020년 가치로 환산: 약 135,480달러
  • 2020년: 중위 주택 가격은 약 30만 달러
  • 비교: 실질적으로 2.21배 증가하여 장기적인 주택 시장 가치 상승 반영

실업률

  • 1920년대: 4~5% 수준
  • 2020년: 평균 8.1%, 4월에는 14.7%까지 상승
  • 비교: 1920년대에 비해 2020년은 팬데믹 영향으로 실업률이 급등

금리

  • 1920년대: 연방준비제도 재할인율 3~4%
  • 2020년: 연방기금금리 0.36% (사상 최저 수준)
  • 비교: 2020년 금리는 1920년대보다 훨씬 낮아 경기 부양에 초점

소비자물가지수(CPI) 인플레이션율

  • 1920년대: 약 1% 연평균 인플레이션
  • 2020년: 1.7%
  • 비교: 1920년대보다 소폭 상승했으나 여전히 낮은 수준

2025년 현재 평가

주식시장

S&P 500 지수는 현재 5,960으로, 1920년대 대비 실질적으로도 강한 성장을 보이며 팬데믹 이후 회복세 유지

주택 시장

2025년 예상 중위 주택 가격은 40만 7,000달러로 상승세 지속

실업률

현재 4.0%로, 1920년대와 유사한 수준으로 안정적

금리

연방기금금리는 4.0% 수준으로, 1920년대와 비슷한 전통적인 정책 기조로 복귀

CPI 인플레이션율

현재 2.75%로, 1920년대 및 2020년보다 높아 통화 정책 조정이 필요할 가능성


종합 분석 및 전망

  • 1920년대 vs. 2020년: 2020년은 주식시장과 주택 가격이 장기적으로 크게 성장했으나, 팬데믹으로 인해 실업률이 급등하고 초저금리 정책이 시행됨.
  • 2020년 vs. 2025년: 주식시장과 주택 가격 상승, 실업률 회복, 금리 인상 및 인플레이션 증가로 1920년대와 유사한 구조.
  • 2025년 전망: 지속적 성장 가능성이 있으나, 인플레이션이 주요 변수이며, 연준이 금리를 추가 조정할 가능성 존재.
반응형
728x90

Table: 주요 경제지표 요약

지표 1920년대 (대공항 전) 2020년대 2025년 현재/예측
주식 DJIA ~300 S&P 500 ~3,200 S&P 500 ~5,960
주택시장 ~$8,000 ~$300,000 ~$407,000
실업률 4-5% 8.1% ~4.0%
금리 3-4% 0.36% ~4.0%
CPI 인플레이션율 ~1% 1.7% ~2.75%

 

 

결론: 2025년 경제 상황은 2020년의 강력한 회복을 반영하며, 실업률과 이자율은 1920년대와 유사하지만, 인플레이션이 더 높고 시장이 상당히 강합니다. 미래 예측은 지속적인 안정성을 시사하며, 잠재적인 인플레이션 압력은 경계하는 통화 정책을 요구합니다.



Key Citations

 

728x90
반응형

댓글